이비인후과학/이과학

귀에서 고름이 흐르고 냄새가 나요? 급성 화농성 중이염의 원인과 치료법

dahament 2025. 3. 2. 11:13
반응형

 

급성 화농성 중이염: 병태생리, 임상적 특징 및 치료방법

화농성 중이염(Suppurative Otitis Media)은 중이강 내 세균 감염으로 인해 화농성 삼출물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급성 또는 만성 형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상기도 감염 후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며, 부적절한 치료 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예: 만성 중이염, 고막 천공, 내이염, 안면 신경 마비, 어지럼증). 본 글에서는 화농성 중이염의 병태생리,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이전에 포스팅 했던 삼출성 중이염에 비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아래 글도 확인 해 주세요. 

 

귀가 먹먹하고 답답하다면? 삼출성 중이염의 원인과 치료법

삼출성 중이염은 고막 뒤쪽의 중이강에 액체(삼출물)가 고이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급성 염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성

dahament.tistory.com

(좌) 농성 분비물이 중이강을 채우고 있는 급성 화농성 중이염, (우) 고막 천공과 농성 이루를 동반한 만성 중이염



1. 병태생리 및 원인

화농성 중이염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 세균 감염: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등입니다.
  • 급성 중이염의 진행: 치료되지 않은 급성 중이염이 진행되면서 화농성 삼출물이 축적되고 고막 천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관 기능 저하: 비염, 감기, 알레르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이관 기능이 저하되면 중이강 내 환기가 감소하여 감염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면역 저하: 영유아, 노인 및 면역억제 상태의 환자들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2. 임상적 특징

화농성 중이염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루(Otorrhea): 화농성 중이염의 대표적 증상으로, 고막 천공이 동반된 경우 악취를 동반한 화농성 이루가 관찰됩니다.
  • 이통(Otalgia): 중이 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통증이 발생하며, 특히 야간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청력 저하(Hearing Loss): 삼출물과 염증으로 인해 전음성 난청이 유발됩니다.
  • 발열 및 전신 증상: 심한 경우 전신적인 염증 반응을 동반하여 발열, 두통, 식욕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어지럼증 및 균형 감각 장애: 감염이 내이로 확산되면 어지럼증 및 전정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진단 방법

화농성 중이염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집니다.

  • 이경 검사(Otoscopy): 고막 천공 여부 및 중이 내 화농성 삼출물 존재를 확인합니다.
  • 청력 검사(Audiometry): 전음성 난청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 임피던스 고막 측정(Impedance Tympanometry): 중이 내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중이염의 진행 상태를 평가합니다.
  • 배양 검사(Culture Test): 이루가 지속되는 경우 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여 원인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 측두골컴퓨터단층촬영(Temporal Bone CT): 만성 중이염으로 진행 시 유양동 발달 저하 및 측두골 빈공간에 염증을 확인하기위해 시행합니다.

우측 만성 중이염 환자에서 CT 소견(좌측 화살표가 환자의 우측 측두골임)

4. 치료 방법

화농성 중이염의 치료는 감염 조절과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합니다.

1) 약물 치료

  • 경구 항생제(Oral Antibiotics): 광범위 베타락탐 계열(예: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또는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가 1차 선택약으로 사용됩니다.
  • 국소 항생제(Ear Drops): 이루가 지속되는 경우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 점이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진통제 및 해열제: 이통 및 발열 조절을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또는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합니다.

2) 시술적 치료

  • 고막 절개술(Myringotomy): 고름 배출을 위해 고막을 절개하는 방법으로, 통증 완화 및 청력 회복에 기여합니다.
  • 중이 환기관 삽입술(Tympanostomy Tube Insertion): 만성적으로 중이 내 삼출액이 고이는 환자에게 시행하여 지속적인 환기를 돕습니다.

3) 보조적 치료

  • 비충혈 완화제(Decongestants): 이관 기능 개선을 위해 점비제 또는 경구 제형의 비충혈 완화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관 통기법(Eustachian Tube Exercises): 발살바 조작법(Valsalva Maneuver) 등의 기법을 통해 이관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5. 예방 및 관리

화농성 중이염의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기도 감염 예방: 감기 및 비염 예방을 위한 위생관리(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를 철저히 합니다.
  • 귀 위생 관리: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영 후 귓속을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 예방 접종: 폐렴구균 백신과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통해 주요 원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 꾸준한 치료로 이관 기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결론

화농성 중이염은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만성화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며, 예방 조치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행할 경우 치료가 장기화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니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꼭 받도록 해야하는 중요한 질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