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면신경 마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중 가장 흔한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인 **벨마비(Bell’s Palsy)**와 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람제이 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이 대표적입니다. 두 질환은 임상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병인과 예후에서 차이를 보이며 치료 접근법 또한 다릅니다.

벨마비(Bell’s Palsy)
병태생리
벨마비는 특발성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로 정의되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형(HSV-1)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바이러스가 잠복 상태에서 재활성화되며 안면신경의 부종과 염증을 유발하여 신경전달을 방해하게 됩니다.
임상 양상
- 급성으로 발생하는 편측성 안면마비
- 이마 주름을 잡을 수 없음 (말초성 안면마비의 특징)
- 눈을 완전히 감을 수 없음(안검하수)
- 미각 저하(설전 2/3의 미각 신경 침범 시)
- 소리에 대한 과민반응(Hyperacusis, 등골근 마비로 인해 발생)
진단 및 감별진단
- 임상적으로 진단되며, 중추성 원인(뇌졸중 등) 배제를 위해 MRI 또는 CT가 필요할 수 있음
- 전기진단검사(ENoG, EMG): 신경 손상 정도와 회복 예후 평가
치료
- 고용량 스테로이드(Prednisolone 60-80mg/day, 5일 후 점진적 감량)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또는 Valacyclovir, 필요 시 병용)
- 물리치료 및 신경자극 치료
- 인공눈물 및 안대 사용(안구 보호 목적)
람제이 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
병태생리
람제이 헌트 증후군은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안면신경을 침범하여 발생합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상황에서 잠복하고 있던 VZV가 재활성화되며, 귀 주변 감각신경을 포함한 안면신경 및 내이신경을 손상시킵니다.
임상 양상
- 벨마비와 유사한 안면마비
- 이개 주변 및 외이도 내 수포성 병변
- 심한 통증(신경병성 통증 유발 가능)
- 청력저하 및 이명(와우신경 침범 시)
- 어지러움 및 균형 장애(전정신경 침범 시)
안면마비와 동반한 귀의 수포성 병변이 관찰된 람제이 헌트 증후군
진단 및 감별진단
- 임상진단: 안면마비와 이개부 수포 동반 여부 확인
- PCR 검사: 혈청 및 수포액에서 VZV DNA 검출 가능
- 청력검사 및 전정기능검사 필요 시 시행
치료
- 고용량 스테로이드(Prednisolone 60-80mg/day, 점진적 감량)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800mg 5회/day, 7~10일간)
- 진통제(신경병성 통증 조절을 위해 Gabapentin 또는 Pregabalin 병용 가능)
- 청력 재활 및 물리치료 병행
벨마비 vs 람제이 헌트 증후군 비교
구분 벨마비(Bell’s Palsy) 람제이 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
병인 |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HSV-1) | 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
주요 증상 | 얼굴 마비, 미각 저하 | 얼굴 마비, 귀 주변 수포, 청력저하, 이명 |
회복 속도 | 대체로 빠름 (3~6개월 내 회복) | 상대적으로 느림, 청력 손실 가능 |
치료법 | 스테로이드, 물리치료 |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
예후 및 후유증
- 벨마비: 70~80% 환자는 완전 회복, 일부 환자는 안면근육 구축, 연합운동(Synkinesis) 등의 후유증 가능
- 람제이 헌트 증후군: 조기 치료하지 않으면 청력 손실 및 지속적인 신경통이 발생할 확률이 높음
결론
벨마비와 람제이 헌트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나, 병인은 서로 다르며 예후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람제이 헌트 증후군의 경우 항바이러스제와 스테로이드 병용 치료를 신속히 시작하는 것이 청력 및 신경 기능 보존에 필수적입니다.
반응형
'이비인후과학 > 이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 안이 너무 가려워요! 외이도 소양증, 그냥 두면 큰일 날까? (0) | 2025.04.01 |
---|---|
귀에서 고름이 흐르고 냄새가 나요? 급성 화농성 중이염의 원인과 치료법 (0) | 2025.03.02 |
돌발성 난청: 갑작스러운 청력 손실의 원인과 치료 (0) | 2025.02.27 |
귀가 먹먹하고 답답하다면? 삼출성 중이염의 원인과 치료법 (0) | 2025.02.13 |
이개혈종: 원인, 증상과 치료 방법 (0) | 2025.02.03 |